Exception -9- (ARM64 Fault Handler)

<kernel v5.4>

Exception -9- (ARM64 Fault Handler)

 

메모리 fault 처리는 아키텍처 관련 코드를 수행한 후 아키텍쳐 공통 메모리 fault 코드를 수행한다.

  • 먼저 do_mem_abort() 함수를 호출하며, 페이지 fault 처리에 대해  do_page_fault() -> __do_page_fault() 함수 순서대로 수행한다.
  • 그 후 아키텍처 공통(generic) 메모리 fault 처리 함수인 handle_mm_fault() 함수로 진입한다.

 

다음 그림은 유저 및 커널 모드 수행 중 sync exception 발생 시 처리되는 함수 흐름이다.

 

do_mem_abort()

arch/arm64/mm/fault.c

asmlinkage void __exception do_mem_abort(unsigned long addr, unsigned int es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const struct fault_info *inf = esr_to_fault_info(esr);

        if (!inf->fn(addr, esr, regs))
                return;

        if (!user_mode(regs)) {
                pr_alert("Unhandled fault at 0x%016lx\n", addr);
                mem_abort_decode(esr);
                show_pte(addr);
        }

        arm64_notify_die(inf->name, regs,
                         inf->sig, inf->code, (void __user *)addr, esr);
}

가상 주소 @addr에 해당하는 공간에 접근하다 fault가 발생하였고, @esr(Exception Syndrom Register) 값과 스택에 저장한 context(pt_regs)를 인자로 가지고 진입하였다. 해당 가상 메모리 영역에 대한 fault 처리를 수행한다.

  • 코드 라인 4에서 @esr 값으로 static하게 정의된 fault_info[] 배열에서 구조체 fault_info를 알아온다.
  • 코드 라인 6~7에서 fault_info[] 배열에 미리 static으로 지정해둔 해당 함수를 실행한다.
    • 예) “level 1 permission fault”가 발생한 경우 do_page_fault() 함수를 호출한다.
  • 코드 라인 9~13에서 유저 영역이 아닌 가상 주소에서 fault가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디버그용 정보를 출력한다.
    • “Unhandled fault at 0x################” 에러 메시지
    • “Mem abort info: ESR=0x########” 등의 메모리 abort 정보
    • 데이터 abort 인 경우 “Data abort info:” 정보도 추가
    • swapper 또는 user 페이지 테이블 정보
  • 코드 라인 15~16에서 유저 영역에서의 fault는 해당 프로세스를 kill하고, 커널 영역에서의 fault인 경우 die 처리한다.

 


페이지 fault 처리

do_page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 -1/3-

static int __kprobes do_page_fault(unsigned long addr, unsigned int es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const struct fault_info *inf;
        struct mm_struct *mm = current->mm;
        vm_fault_t fault, major = 0;
        unsigned long vm_flags = VM_READ | VM_WRITE;
        unsigned int mm_flags = FAULT_FLAG_ALLOW_RETRY | FAULT_FLAG_KILLABLE;

        if (kprobe_page_fault(regs, esr))
                return 0;

        /*
         * If we're in an interrupt or have no user context, we must not take
         * the fault.
         */
        if (faulthandler_disabled() || !mm)
                goto no_context;

        if (user_mode(regs))
                mm_flags |= FAULT_FLAG_USER;

        if (is_el0_instruction_abort(esr)) {
                vm_flags = VM_EXEC;
                mm_flags |= FAULT_FLAG_INSTRUCTION;
        } else if (is_write_abort(esr)) {
                vm_flags = VM_WRITE;
                mm_flags |= FAULT_FLAG_WRITE;
        }

        if (is_ttbr0_addr(addr) && is_el1_permission_fault(addr, esr, regs)) {
                /* regs->orig_addr_limit may be 0 if we entered from EL0 */
                if (regs->orig_addr_limit == KERNEL_DS)
                        die_kernel_fault("access to user memory with fs=KERNEL_DS"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dr, esr, regs);

                if (is_el1_instruction_abort(esr))
                        die_kernel_fault("execution of user memory"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dr, esr, regs);

                if (!search_exception_tables(regs->pc))
                        die_kernel_fault("access to user memory outside uaccess routines"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dr, esr, regs);
        }

        perf_sw_event(PERF_COUNT_SW_PAGE_FAULTS, 1, regs, addr);
  • 코드 라인 5에서 현재 태크스가 사용중인 메모리 관리에 해당하는 mm을 알아온다.
  • 코드 라인 7에서 vm 플래그 초기 값으로 VM_READ와 VM_WRITE플래그를 지정한다.
  • 코드 라인 8에서 mm 플래그 초기 값으로 FAULT_FLAG_ALLOW_RETRY와 FAULT_FLAG_KILLABLE 플래그를 지정한다.
  • 코드 라인 10~11에서 mm fault 발생 하였으므로 kprobe 디버그를 사용중이면 kprobe 상태에 따라 해당 kprobe fault 함수를 호출한다.
  • 코드 라인 17~18에서 irq context에서 fault가 발생하였거나, 해당 태스크의 fault hander를 disable한 경우 유저 fault 처리를 생략하고 곧장 커널에 대한 fault 처리 루틴을 수행하러 no_context: 레이블로 이동한다.
  • 코드 라인 20~21에서 유저 모드에서 fault가 발생한 경우 mm 플래그에 FAULT_FLAG_USER 플래그를 추가한다.
  • 코드 라인 23~25에서 유저 모드에서 명령어를 수행하다 fault가 발생한 경우 vm 플래그에 VM_EXEC를 대입하고, mm 플래그에 FAULT_FLAG_INSTRUCTION을 추가한다.
  • 코드 라인 26~29에서 쓰기 시도 중에 fault가 발생한 경우 vm 플래그에 VM_WRITE를 대입하고, mm 플래그에 FAULT_FLAG_WRITE를 추가한다.
  • 코드 라인 31~44에서 커널 모드에서 유저 영역에 접근 시 permission 문제로 fault가 발생한 경우 다음 3 가지 경우에 한하여 die 처리한다.
    • 메모리 제한이 없었던 경우
    • 커널 모드의 명령어를 처리중 fault가 발생한 경우
    • exception 테이블에 등록되지 않은 예외인 경우
  • 코드 라인 46에서 perf 디버그를 목적으로 page fault에 대한 카운팅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PERF_COUNT_SW_PAGE_FAULTS 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.

 

arch/arm64/mm/fault.c -2/3-

        /*
         * As per x86, we may deadlock here. However, since the kernel only
         * validly references user space from well defined areas of the code,
         * we can bug out early if this is from code which shouldn't.
         */
        if (!down_read_trylock(&mm->mmap_sem)) {
                if (!user_mode(regs) && !search_exception_tables(regs->pc))
                        goto no_context;
retry:
                down_read(&mm->mmap_sem);
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The above down_read_trylock() might have succeeded in which
                 * case, we'll have missed the might_sleep() from down_read()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might_sleep();
#ifdef CONFIG_DEBUG_VM
                if (!user_mode(regs) && !search_exception_tables(regs->pc)) {
                        up_read(&mm->mmap_sem);
                        goto no_context;
                }
#endif
        }

       fault = __do_page_fault(mm, addr, mm_flags, vm_flags);
        major |= fault & VM_FAULT_MAJOR;

        if (fault & VM_FAULT_RETRY)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If we need to retry but a fatal signal is pending,
                 * handle the signal first. We do not need to release
                 * the mmap_sem because it would already be released
                 * in __lock_page_or_retry in mm/filemap.c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if (fatal_signal_pending(current)) {
                        if (!user_mode(regs)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oto no_context;
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Clear FAULT_FLAG_ALLOW_RETRY to avoid any risk of
                 * starvation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if (mm_flags & FAULT_FLAG_ALLOW_RETRY) {
                        mm_flags &= ~FAULT_FLAG_ALLOW_RETRY;
                        mm_flags |= FAULT_FLAG_TRIED;
                        goto retry;
    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up_read(&mm->mmap_sem);

mm->mmap_sem 읽기 락을 획득한 채로 __do_page_fault() 함수를 수행한다.

  • 코드 라인 6에서 현재 태스크의 mm에서 read 락을 획득 시도한다.
  • 코드 라인 7~8에서 만일 락을 획득하지 못했고, fault 발생한 곳이 유저 모드가 아니면서 exception 테이블에 등록된 예외도 없으면 곧장 커널에 대한 fault 처리 루틴을 수행하러 no_context: 레이블로 이동한다.
  • 코드 라인 9~10에서 retry: 레이블이다. 여기서 read 락을 획득한다.
  • 코드 라인 11~23에서 만일 읽기 락을 획득 시도하다 정상적으로 획득한 경우, 즉 race 컨디션 없이 락을 획득한 경우에 먼저 premption point를 수행해준다.
    • preemption 옵션 중 하나인 voluntry 커널 설정인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의 다른 태스크를 먼저 처리하기 위해 sleep 할 수 있다.
  • 코드 라인 25에서 __do_page_fault() 함수를 호출하여 페이지 fault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후 fault 결과를 알아온다.
  • 코드 라인 26에서 fault 결과 중 VM_FAULT_MAJOR 플래그가 있는 경우 major에도 추가한다.
  • 코드 라인 28~50에서 fault 결과에 retry 요청이 있는 경우이다.
    • fatal 시그널이 존재하는 경우 유저 모드에서 fault가 발생한 경우이면 0을 반환하고, 커널 모드에서 fault가 발생한 경우 no_context: 레이블로 이동한다.
    • mm 플래그에 retry를 허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mm 플래그에서 FAULT_FLAG_ALLOW_RETRY 플래그를 제거하고, retry를 시도했다는 뜻의 FAULT_FLAG_TRIED를 추가한 후 retry 레이블로 이동한다.
  • 코드 라인 51에서 fault 처리를 위해 획득했었던 read 락을 풀어준다.

 

arch/arm64/mm/fault.c -3/3-

        /*
         * Handle the "normal" (no error) case first.
         */
        if (likely(!(fault & (VM_FAULT_ERROR | VM_FAULT_BADMAP |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M_FAULT_BADACCESS))))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Major/minor page fault accounting is only done
                 * once. If we go through a retry, it is extremely
                 * likely that the page will be found in page cache at
                 * that point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if (major) {
                        current->maj_flt++;
                        perf_sw_event(PERF_COUNT_SW_PAGE_FAULTS_MAJ, 1, regs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dr);
    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        current->min_flt++;
                        perf_sw_event(PERF_COUNT_SW_PAGE_FAULTS_MIN, 1, regs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dr);
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}

        /*
         * If we are in kernel mode at this point, we have no context to
         * handle this fault with.
         */
        if (!user_mode(regs))
                goto no_context;

        if (fault & VM_FAULT_OOM)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We ran out of memory, call the OOM killer, and return to
                 * userspace (which will retry the fault, or kill us if we got
                 * oom-killed)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pagefault_out_of_memory();
    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}

        inf = esr_to_fault_info(esr);
        set_thread_esr(addr, esr);
        if (fault & VM_FAULT_SIGBUS)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We had some memory, but were unable to successfully fix up
                 * this page fault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arm64_force_sig_fault(SIGBUS, BUS_ADRERR, (void __user *)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f->name);
        } else if (fault & (VM_FAULT_HWPOISON_LARGE | VM_FAULT_HWPOISON)) {
                unsigned int lsb;

                lsb = PAGE_SHIFT;
                if (fault & VM_FAULT_HWPOISON_LARGE)
                        lsb = hstate_index_to_shift(VM_FAULT_GET_HINDEX(fault));

                arm64_force_sig_mceerr(BUS_MCEERR_AR, (void __user *)addr, lsb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f->name);
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/*
                 * Something tried to access memory that isn't in our memory
                 * map.
                 */
                arm64_force_sig_fault(SIGSEGV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ault == VM_FAULT_BADACCESS ? SEGV_ACCERR : SEGV_MAPER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(void __user *)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f->name);
        }

        return 0;

no_context:
        __do_kernel_fault(addr, esr, regs);
        return 0;
}
  • 코드 라인 4~23에서 fault 처리 결과 에러도 없고, 매핑도 정상이고 접근에 문제가 없었던 경우 major 변수 값에 따른 perf 카운터를 증가시키고, 정상 결과(0)를 반환한다.
  • 코드 라인 29~30에서 fault가 커널에서 발생한 경우는 커널을 계속 진행할 수 없어 no_context로 이동한다.
  • 코드 라인 32~40에서 OOM(메모리 부족) 상황인 경우 OOM 킬을 수행하고 정상 결과(0)를 반환한다.
    • OOM score가 높은 유저 태스크를 죽여 메모리를 확보한다.
  • 코드 라인 42에서 esr 값으로 fault_info를 알아온다.
  • 코드 라인 43에서 현재 태스크에 esr 값(내부 함수에서 조건에 따라 esr 값이 변경된다)을 기록한다.
  • 코드 라인 44~69에서 fault 주소에 접근하려 했던 프로세스에 다음과 같은 시그널을 전송한다. 참고로 해당 프로세스는 시그널을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핸들러를 추가할 수 있다. SIGBUS 및 SIGSEGV 시그널 등에 대한 처리 핸들러가 설치되지 않은 프로세스는 디폴트로 kill 된다.
    • SIGBUS fault인 경우 해당 프로세스에 SIGBUS 시그널을 전송한다.
    • HWPOISON fault 검출인 경우 메모리 에러로 프로세스에 SIGBUS 시그널을 전송한다.
    • 그 외 fault인 경우 해당 프로세스에 SIGSEGV 시그널을 전송한다.
  • 코드 라인 71에서 정상 결과(0)를 반환한다.
  • 코드 라인 73~75에서 no_context: 레이블이다. 커널이 더 이상 처리를 수행할 수 없어 fault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하고 커널을 die 처리한다단 exception이 설치된 명령은 die 처리하지 않는다.

 

유저 페이지 fault 처리

__do_page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vm_fault_t __do_page_fault(struct mm_struct *mm, unsigned long 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unsigned int mm_flags, unsigned long vm_flags)
{
        struct vm_area_struct *vma = find_vma(mm, addr);

        if (unlikely(!vma))
                return VM_FAULT_BADMAP;

        /*
         * Ok, we have a good vm_area for this memory access, so we can handle
         * it.
         */
        if (unlikely(vma->vm_start > addr)) {
                if (!(vma->vm_flags & VM_GROWSDOWN))
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VM_FAULT_BADMAP;
                if (expand_stack(vma, addr))
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VM_FAULT_BADMAP;
        }

        /*
         * Check that the permissions on the VMA allow for the fault which
         * occurred.
         */
        if (!(vma->vm_flags & vm_flags))
                return VM_FAULT_BADACCESS;
        return handle_mm_fault(vma, addr & PAGE_MASK, mm_flags);
}

유저 주소에 대한 페이지 fault 처리이다.

  • 코드 라인 4~7에서 현재 태스크의 mm내에서 fault 주소로 vma 영역을 찾는다.
  • 코드 라인 13~18에서 vma 영역이 스택인 경우 스택을 확장 시도한다.
  • 코드 라인 24~25에서 vma 영역이 요청한 속성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VM_FAULT_BADACCESS 결과를 반환한다.
    • vma 공간이 vm 플래그(VM_READ, VM_WRITE, VM_EXEC 등)를 지원하지 않은 경우이다.
  • 코드 라인 26에서 아키텍처 mm fault 처리는 완료되었다. 이 다음부터는 아키텍처와 무관한 코드로 작성된 generic mm fault 루틴을 수행한다.

 

커널 페이지 fault 처리

__do_kernel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void __do_kernel_fault(unsigned long addr, unsigned int es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const char *msg;

        /*
         * Are we prepared to handle this kernel fault?
         * We are almost certainly not prepared to handle instruction faults.
         */
        if (!is_el1_instruction_abort(esr) && fixup_exception(regs))
                return;

        if (WARN_RATELIMIT(is_spurious_el1_translation_fault(addr, esr, regs),
            "Ignoring spurious kernel translation fault at virtual address %016lx\n", addr))
                return;

        if (is_el1_permission_fault(addr, esr, regs)) {
                if (esr & ESR_ELx_WNR)
                        msg = "write to read-only memory";
                else
                        msg = "read from unreadable memory";
        } else if (addr < PAGE_SIZE) {
                msg = "NULL pointer dereference";
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msg = "paging request";
        }

        die_kernel_fault(msg, addr, esr, regs);
}

커널 페이지에 대한 fault 처리를 수행한다.

  • 코드 라인 10~11에서 커널 명령(instruction)에서 fault가 발생하지 않았거나, 커널 명령에서 fault가 발생했어도 이에 대응하는 exception 테이블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커널 페이지에 대한 fault가 아니므로 그냥 함수를 빠져나간다.
  • 코드 라인 13~15에서 거짓(spurious) 커널 페이지 변환 fault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.
    • ratelimit 방식을 사용하여 디폴트로 최대 5초 이내에 10번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한한다.
  • 코드 라인 17~21에서 커널 permission fault인 경우의 메시지를 선택한다.
  • 코드 라인 22~23에서 첫 페이지에 대한 접근의 경우의 메시지를 선택한다.
  • 코드 라인 24~26에서 그 외의 경우 메시지를 선택한다.
  • 코드 라인 28에서 커널 context를 덤프하고 die 처리를 한다.

 

die_kernel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void die_kernel_fault(const char *msg, unsigned long 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nsigned int esr,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bust_spinlocks(1);

        pr_alert("Unable to handle kernel %s at virtual address %016lx\n", msg,
                 addr);

        mem_abort_decode(esr);

        show_pte(addr);
        die("Oops", regs, esr);
        bust_spinlocks(0);
        do_exit(SIGKILL);
}

커널 context를 덤프하고 die 처리를 한다.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출력한다.

  • 메모리 abort 정보
  • 데이터 abort 정보
  • 페이지 테이블 정보
  • 레지스터 덤프
  • 커널 스택 덤프

 

다음은 0x00003fc8에 접근하다 발생한 커널 fault 예제이다.

[  110.965771] Unable to handle kernel paging request at virtual address 00003fc8
[  110.968799] Mem abort info:
[  110.969351]   Exception class = DABT (current EL), IL = 32 bits
[  110.969828]   SET = 0, FnV = 0
[  110.969988]   EA = 0, S1PTW = 0
[  110.970142] Data abort info:
[  110.970560]   ISV = 0, ISS = 0x00000006
[  110.970758]   CM = 0, WnR = 0
[  110.971357] user pgtable: 4k pages, 39-bit VAs, pgd = ffffffc06527e000
[  110.972077] [0000000000003fc8] *pgd=00000000a6761003, *pud=00000000a6761003, *pmd=0000000000000000
[  110.972846] Internal error: Oops: 96000006 [#1] PREEMPT SMP
[  110.973711] Modules linked in:
[  110.974527] CPU: 3 PID: 1034 Comm: sleep Not tainted 4.14.67-v8-qemu+ #74
[  110.974840] Hardware name: linux,dummy-virt (DT)
[  110.975749] task: ffffffc0650bd700 task.stack: ffffff800b0d8000
[  110.976622] PC is at cpuacct_charge+0x34/0xa8
[  110.977911] LR is at update_curr+0x98/0x228
[  110.978260] pc : [<ffffff80080ec54c>] lr : [<ffffff80080d5030>] pstate: a00001c5
[  110.978803] sp : ffffff800b0dba60
[  110.978985] x29: ffffff800b0dba60 x28: ffffffc06ffb0480 
[  110.979768] x27: ffffff80092aa7c0 x26: ffffffc06d57d780 
[  110.980104] x25: ffffff80092aa000 x24: 0000000000000008 
[  110.980295] x23: ffffffc06ffb0480 x22: 0000000001c8e1f0 
[  110.980460] x21: 0000000000000001 x20: 0000000001c8e1f0 
[  110.980858] x19: ffffffc0650b9d00 x18: 0000000000000000 
[  110.981157] x17: 0000000000000000 x16: ffffff8008111500 
[  110.981402] x15: 0000000000000000 x14: 00000000004bb6d4 
[  110.981611] x13: 00000000ff9cea5c x12: 0000000000000000 
[  110.981902] x11: 00000000ff9cea94 x10: 00000000004ce000 
[  110.982104] x9 : 000000000000075a x8 : 0000000000000400 
[  110.982268] x7 : 000000000000075a x6 : 0000000002739d7c 
[  110.982424] x5 : 00ffffffffffffff x4 : 0000000000000015 
[  110.983490] x3 : 0000000000000000 x2 : ffffffffff76abc0 
[  110.983734] x1 : 0000000000003ec0 x0 : 0000000000003ec0 
[  110.983940] Process sleep (pid: 1034, stack limit = 0xffffff800b0d8000)
[  110.984213] Call trace:
[  110.984388] Exception stack(0xffffff800b0db920 to 0xffffff800b0dba60)
[  110.984723] b920: 0000000000003ec0 0000000000003ec0 ffffffffff76abc0 0000000000000000
[  110.984970] b940: 0000000000000015 00ffffffffffffff 0000000002739d7c 000000000000075a
[  110.985185] b960: 0000000000000400 000000000000075a 00000000004ce000 00000000ff9cea94
[  110.985396] b980: 0000000000000000 00000000ff9cea5c 00000000004bb6d4 0000000000000000
[  110.985624] b9a0: ffffff80081115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ffffffc0650b9d00
[  110.985878] b9c0: 0000000001c8e1f0 0000000000000001 0000000001c8e1f0 ffffffc06ffb0480
[  110.986092] b9e0: 0000000000000008 ffffff80092aa000 ffffffc06d57d780 ffffff80092aa7c0
[  110.986308] ba00: ffffffc06ffb0480 ffffff800b0dba60 ffffff80080d5030 ffffff800b0dba60
[  110.986528] ba20: ffffff80080ec54c 00000000a00001c5 0000000000000003 ffffffc06d553e00
[  110.986825] ba40: 0000007fffffffff ffffff80092a9b20 ffffff800b0dba60 ffffff80080ec54c
[  110.987497] [<ffffff80080ec54c>] cpuacct_charge+0x34/0xa8
[  110.987842] [<ffffff80080d5030>] update_curr+0x98/0x228
[  110.988085] [<ffffff80080d6108>] dequeue_task_fair+0x68/0x528
[  110.988251] [<ffffff80080ce440>] deactivate_task+0xa8/0xf0
[  110.988406] [<ffffff80080da9f4>] load_balance+0x454/0x960
[  110.988693] [<ffffff80080db2a4>] pick_next_task_fair+0x3a4/0x6c8
[  110.988987] [<ffffff8008b00bac>] __schedule+0x104/0x898
[  110.989226] [<ffffff8008b01374>] schedule+0x34/0x98
[  110.989459] [<ffffff8008b05084>] do_nanosleep+0x7c/0x168
[  110.989739] [<ffffff80081113f4>] hrtimer_nanosleep+0xa4/0x128
[  110.990058] [<ffffff8008111570>] compat_SyS_nanosleep+0x70/0x90
[  110.990300] Exception stack(0xffffff800b0dbec0 to 0xffffff800b0dc000)
[  110.990825] bec0: 00000000ff9cea6c 0000000000000000 00000000f7b82590 00000000ff9cea6c
[  110.991237] bee0: 0000000005f5e1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4b8e80 00000000000000a2
[  110.991768] bf0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4ce000 00000000ff9cea94
[  110.992084] bf20: 0000000000000000 00000000ff9cea5c 00000000004bb6d4 0000000000000000
[  110.992521] bf4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
[  110.993118] bf6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
[  110.993655] bf8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
[  110.994227] bfa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
[  110.995517] bfc0: 00000000f7ab4a10 0000000060040010 00000000ff9cea6c 00000000000000a2
[  110.995998] bfe0: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
[  110.996235] [<ffffff8008083b18>] __sys_trace_return+0x0/0x4
[  110.996618] Code: 52800035 f9401260 8b010000 b4000080 (f9408400) 
[  110.997850] ---[ end trace cdf6df9c4e5b5c95 ]---
[  110.998316] note: sleep[1034] exited with preempt_count 2

 


테이블 변환 fault 처리

do_translation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int __kprobes do_translation_fault(unsigned long 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nsigned int es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if (is_ttbr0_addr(addr))
                return do_page_fault(addr, esr, regs);

        do_bad_area(addr, esr, regs);
        return 0;
}

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페이지 테이블을 사용한 변환에 fault가 발생하였을 수행을 한다.

  • 코드 라인 5~6에서 fault 발생 주소가 유저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페이지 fault 처리로 이동한다.
  • 코드 라인 8에서 영역 침범과 관련한 fault 처리를 수행하도록 이동한다.

 

영역 침범 fault 처리

do_bad_area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void do_bad_area(unsigned long addr, unsigned int esr,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/*
         * If we are in kernel mode at this point, we have no context to
         * handle this fault with.
         */
        if (user_mode(regs)) {
                const struct fault_info *inf = esr_to_fault_info(esr);

                set_thread_esr(addr, esr);
                arm64_force_sig_fault(inf->sig, inf->code, (void __user *)add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f->name);
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__do_kernel_fault(addr, esr, regs);
        }
}

영역 침범에 대한 fault 처리를 수행한다.

  • 코드 라인 7~12에서 유저 모드에서 동작 중에 fault 발생한 경우 해당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전송한다.
    • 해당 프로세스가 die 한다. 만일 프로세스에 시그널 핸들러가 설치된 경우 해당 핸들러 코드가 동작하다.
  • 코드 라인 13~15에서 커널 fault 처리를 수행하고 die 한다.

 


정렬 fault 처리

do_alignment_fault()

arch/arm64/mm/fault.c

static int do_alignment_fault(unsigned long addr, unsigned int esr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ruct pt_regs *regs)
{
        do_bad_area(addr, esr, regs);
        return 0;
}

정렬 fault가 발생한 겨우 영역 침범과 동일한 코드를 호출하여 처리한다.

 

참고

 

댓글 남기기

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입력창은 *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